칼융심리학 7

[15] 감정 위의 가면— 페르소나는 감정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 1. 페르소나는 어떻게 감정을 필터링하는가?감정은 언제나 자극 이후에 발생합니다. 그런데 그 감정이 그대로 외부로 표현되지 않는 이유는, 우리가 스스로의 내면에 ‘역할 필터’, 즉 페르소나를 적용하기 때문입니다. 페르소나는 단순히 ‘사회적 가면’이 아니라, 내가 선택하거나 요구받은 ‘역할’에 맞춰 감정을 조율하는 인지 필터입니다.이 필터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내면적으로 작동시킵니다:“이 감정을 지금 표현해도 괜찮은가?”“이 역할에서는 이런 감정을 보여도 되는가?”“이 감정을 감추는 것이 나를 더 안전하게 만드는가?”이처럼 페르소나는 감정을 억제하거나 감추는 존재가 아니라, 감정을 분석하고 판단하는 1차적인 심리적 여과 장치입니다. 중요한 점은, 이 페르소나는 외부에서 주어진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이 ..

[14] 감정은 말해야 풀린다— 자기검열이 감정을 왜곡하는 방식

🔹 1. 우리는 왜 자꾸 감정을 입 밖에 꺼내지 못할까?“이 말을 해도 될까?”“괜히 말해서 분위기 망치면 어쩌지?”“내가 이런 감정을 느낀다는 걸 들키면, 이상하게 보이지 않을까?” 많은 사람들이 감정 표현을 앞두고 이처럼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그러다 결국 아무 말도 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그 말하지 못한 감정은 단지 멈춰 있는 게 아닙니다. 그 감정은 곧 왜곡된 형태로 내면에 쌓이고, ‘표현되지 않은 감정’은 검열을 통과하면서 다른 감정처럼 변질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우리는 더 이상 자신이 무슨 감정을 느끼는지도 모르는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2. 자기검열은 감정의 해석 방식을 바꿔 놓는다자기검열은 단순히 감정을 숨기는 것이 아닙니다. 그건 감정에 대한 해석 기준 자체를 바꾸는 ..

[12] 감정은 어떻게 ‘필터링’되어야 하는가— 감정 해석의 주체로 자아를 되찾다

🔹 1. 감정은 왜 곧바로 받아들여지면 안 되는가?“기분 나쁘다.”“괜히 억울하다.”“지금은 말하고 싶지 않다.” 이런 감정들을 우리는 너무 빠르게 ‘사실’로 받아들이곤 합니다. 그러나 감정은 단순하게 발생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해석되어야 하는 자극입니다. 그 감정을 내가 어떻게 받아들일지 결정하는 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그 감정은 ‘감정’으로 남기도 하고, ‘상처’로 굳기도 하며, 때로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우리는 그 감정 해석의 순간을 그냥 지나치곤 합니다. 그러나 바로 그 지점에서, 자아는 감정에게 자신의 주도권을 빼앗깁니다. 여기서 우리는 중요한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감정을 해석하는 기준은 누구의 것인가? 🔹 2. 감정 → 해석 → 표현: 페르소나 필터의 개입칼 융 이론에 기반한 ..

[11] 감정이 나를 이끄는 삶: 자아로 삶을 정렬하는 기술

🔹 1. 감정은 메시지다, 해석 후엔 ‘선택’이 따라온다“더는 이 일을 하고 싶지 않아요.”“자꾸만 반복되는 관계가 나를 소모시켜요.”“이 선택이 맞는지 모르겠어요, 계속 피로해요.” 이런 말은 보통 극도의 감정 소진 상태에서 터져 나옵니다. 하지만 이 말들의 뿌리는 ‘감정’이 아니라 ‘페르소나의 설계’에 있습니다.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삶과 연결되지 않고, 해석된 감정이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때, 우리는 점점 삶의 진로를 잃은 채, 감정만 반복하게 됩니다. 이제 우리는 감정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다음 단계는 분명합니다.해석된 감정을 기준으로 ‘삶의 구조’를 다시 선택해야 한다는 것.🔹 2. 페르소나 필터를 통한 감정 선택이란 무엇인가?우리는 보통 이런 질문을 합니다.이 관계가 나에게 맞을..

[02] 진짜 나를 찾는 심리학적 방법: 융의 자기 인식 이론

🔹 1. 나는 누구일까?“나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잘 모르겠어요.”많은 사람들이 상담실이나 일기장 속에서 이런 말을 꺼냅니다.한 사람은 회사에서 열정적이고 이성적인 모습이지만, 가족 앞에서는 냉소적이고 피로해져 버립니다.SNS에서는 밝고 여유 있는 사람처럼 보이지만, 혼자 있는 밤이면 무기력함에 빠지죠. 이런 차이들 속에서 우리는 자주 혼란을 느낍니다. 자기 자신이 사라져 버린 거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이 중에 진짜 나는 누구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 하게 됩니다. 허황된 것들 사이에서 나는 대체 뭘까?세상에서 나는 빠져 버린 것만 같아, 나는 기계 같아 이런 생각도 하게 됩니다. 저는 이 질문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자기 인식(Self-awareness)"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칼 융(Carl ..

[01] 현대인의 ‘가면 증후군’: 페르소나에 지배당한 삶이란?

오늘은 현대인의 '가면 증후군', 페르소나의 팽창에 대해서 칼 융의 이론과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1. 사회 속 ‘나’는 정말 나일까? 페르소나의 정의누구나 사회에서 하나 이상의 ‘가면’을 쓰고 살아갑니다. 그건 오히려 좋은 일이에요.칼 융(Carl Jung)은 이런 가면을 ‘페르소나(persona)’라는 개념으로 소개했습니다. 인간 내면의 구조를 분석하면서 나온 이름이죠. 어려워 보이지만 쉽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른 바 '부캐'라는 캐릭터로요. 요즘 연예인들 중 어떤 연예인들은 분장을 충실하게 해서 이른 바 '부캐'라는 것을 만듭니다. 유재석 님이 트로트 가수 유산슬이라는 캐릭터를 만든 것처럼 말입니다. 이러한 '부캐'는 그런 연예인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서도 충분히 일어나는 일이라는..

[00] 가면을 벗고 나를 마주하다 – 현대인의 페르소나와 자기 인식

안녕하세요. 나날 이라고 합니다. 오늘부터 융의 심리학을 기반으로 나 자신을 기반으로 한 현대인의 '가면' 즉, 페르소나에 대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이 내용은 전반적인 기본 이론과 함께 이를 어떻게 미술에게 접목하는지 소개하는 시리즈입니다. 이 시리즈는 페르소나와 자기 인식에 대한 심리학 이론과 예술적 접근을 통해 현대인이 진짜 ‘나’를 찾는 과정을 안내합니다. 🔹 1. 사회적 역할 속에서 길을 잃은 ‘나’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가면’을 씁니다.직장에서의 프로페셔널한 나, 친구들 사이에서의 유쾌한 나, 가족 안에서의 책임감 있는 나. 이렇게 다양한 ‘나’는 모두 진짜일까요?혹시, 우리는 그중 하나의 역할에 지나치게 몰입한 채, 진짜 자신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생각을 하신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