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나찾기 3

[06]"타인 만든 나: 페르소나가 가짜 자아가 되는 과정"

🔹 1.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눈 안에서 살아간다“지금 내가 이렇게 말하면 저 사람은 어떻게 생각할까?”“지금 내 표정, 어색하진 않나?”“이 옷차림, 저 친구한테 어떻게 보일까?” 이런 생각, 하루에 몇 번이나 하시나요? 누구나 겪는 아주 평범한 사고 패턴이지만, 그 안에는 우리가 늘 의식하지 못한 채 반복하는 사고 숨어 있습니다. 바로 ‘사회가 없으면 나는 살아갈 수 없다' 라는 생각입니다. 맞습니다. 사회 없이 우리는 살아갈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페르소나의 형성 단계로만 바라봐야 합니다. 이러한 사고는 자아의 중심이 ‘내 감정’이 아닌 ‘타인의 평가’나, '타인의 기대', '역할 수행'로 이동하게 만들고, 결국 나 자신보다 나를 바라보는 사람의 시선이 더 강력한 힘을 가지게 되며, 점차 ..

[05] ‘나답지 않다’는 느낌, 그게 중요한 신호인 이유

🔹 1. 이상한 건 아니야, ‘나답지 않다’는 게 정상이야가끔, 아무 이유 없이“지금 내가 하는 말이 진심이 아닌 것 같아”,“이건 내가 평소에 하던 행동이 아닌데…” 라는 묘한 이질감을 느낀 적 있지 않으신가요? 그럴 때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내가 예민한 걸까?”, “내가 왜 이러지?”, “기분 탓이겠지.” 하지만 아닙니다. 그 감정은 단순한 기분이나 오해가 아니라 당신의 내면이 “지금 너, 너답지 않아”라고 보내는 긴급 신호입니다. 그 순간이야말로 자기를 되찾을 수 있는 심리적 기회입니다. 🔹 2. 이질감은 자기(Self)가 보내는 구조 신호다칼 융(Carl Jung)의 심리학에서 ‘자기(Self)’는 자아(Ego)를 포함하는 의식과 무의식 전체를 아우르는 나입니다. 우리가 감정적 이질감..

[02] 진짜 나를 찾는 심리학적 방법: 융의 자기 인식 이론

🔹 1. 나는 누구일까?“나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잘 모르겠어요.”많은 사람들이 상담실이나 일기장 속에서 이런 말을 꺼냅니다.한 사람은 회사에서 열정적이고 이성적인 모습이지만, 가족 앞에서는 냉소적이고 피로해져 버립니다.SNS에서는 밝고 여유 있는 사람처럼 보이지만, 혼자 있는 밤이면 무기력함에 빠지죠. 이런 차이들 속에서 우리는 자주 혼란을 느낍니다. 자기 자신이 사라져 버린 거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이 중에 진짜 나는 누구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 하게 됩니다. 허황된 것들 사이에서 나는 대체 뭘까?세상에서 나는 빠져 버린 것만 같아, 나는 기계 같아 이런 생각도 하게 됩니다. 저는 이 질문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자기 인식(Self-awareness)"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칼 융(Ca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