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4

[05] ‘나답지 않다’는 느낌, 그게 중요한 신호인 이유

🔹 1. 이상한 건 아니야, ‘나답지 않다’는 게 정상이야가끔, 아무 이유 없이“지금 내가 하는 말이 진심이 아닌 것 같아”,“이건 내가 평소에 하던 행동이 아닌데…” 라는 묘한 이질감을 느낀 적 있지 않으신가요? 그럴 때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내가 예민한 걸까?”, “내가 왜 이러지?”, “기분 탓이겠지.” 하지만 아닙니다. 그 감정은 단순한 기분이나 오해가 아니라 당신의 내면이 “지금 너, 너답지 않아”라고 보내는 긴급 신호입니다. 그 순간이야말로 자기를 되찾을 수 있는 심리적 기회입니다. 🔹 2. 이질감은 자기(Self)가 보내는 구조 신호다칼 융(Carl Jung)의 심리학에서 ‘자기(Self)’는 자아(Ego)를 포함하는 의식과 무의식 전체를 아우르는 나입니다. 우리가 감정적 이질감..

[04] 역할 중독: 책임감이라는 이름의 자기 상실-페르소나의 팽창2

🔹 1. 언제부터인가 나는 '역할'로 살아가고 있었다“나는 왜 이렇게 지쳐 있을까?”많은 사람들이 이 질문에 명확히 대답하지 못합니다. 하루 종일 바쁘게 움직였고, 누구보다도 최선을 다했는데도 어딘가 공허하고, 무력하고, 허탈한 감정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그 감정의 정체는 바로 역할 중독(페르소나의 팽창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일상 속에서 수많은 ‘역할’을 수행하며 살아갑니다. 엄마, 직원, 친구, 연인, 자녀, 리더… 그 중 하나라도 무너질까 봐 스스로를 책임감이라는 이름으로 몰아붙이죠. 문제는 이 ‘역할’이 나의 감정을 앞지르기 시작하면서 나는 나를 돌보는 방법을 잊어버리게 된다는 점입니다.🔹 2.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나를 지우고 있다역할 중독은 겉보기엔 성실함, 책임감, 헌..

[03] 나는 누구일까? 정체성의 혼란과 자기 소외

🔹 1. 정체성 혼란은 특별한 사람만 겪는 일이 아니다“나는 누구일까?”이 질문은 철학자나 사춘기 청소년만 던지는 게 아닙니다. 완벽한 직장인, 좋은 부모, 사려 깊은 친구로 살아가던 누군가도문득 “이게 정말 나인가?” 하는 생각에 멈춰 서곤 합니다. 아침에 거울을 보며 얼굴을 마주하지만, 낯설게 느껴진 적 있으신가요? 이게 나인지. 정말 내가 맞는지. 직장에서의 나, 가족 안에서의 나, 연인과의 나. 모두 나라고 생각했지만 또 모두가 나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것만 같나요? 그러면서도 또 '나답지 않다’는 기분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 감정은 대부분 '정체성 혼란'시키는 데에서 비롯됩니다. 이런 상태가 반복되면, 우리는 점점 자신을 멀리서 구경하는 듯한자기 소외(Self-alienation) 상태에 빠..

[02] 진짜 나를 찾는 심리학적 방법: 융의 자기 인식 이론

🔹 1. 나는 누구일까?“나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잘 모르겠어요.”많은 사람들이 상담실이나 일기장 속에서 이런 말을 꺼냅니다.한 사람은 회사에서 열정적이고 이성적인 모습이지만, 가족 앞에서는 냉소적이고 피로해져 버립니다.SNS에서는 밝고 여유 있는 사람처럼 보이지만, 혼자 있는 밤이면 무기력함에 빠지죠. 이런 차이들 속에서 우리는 자주 혼란을 느낍니다. 자기 자신이 사라져 버린 거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이 중에 진짜 나는 누구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 하게 됩니다. 허황된 것들 사이에서 나는 대체 뭘까?세상에서 나는 빠져 버린 것만 같아, 나는 기계 같아 이런 생각도 하게 됩니다. 저는 이 질문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자기 인식(Self-awareness)"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칼 융(Ca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