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에세이 2

[03] 나는 누구일까? 정체성의 혼란과 자기 소외

🔹 1. 정체성 혼란은 특별한 사람만 겪는 일이 아니다“나는 누구일까?”이 질문은 철학자나 사춘기 청소년만 던지는 게 아닙니다. 완벽한 직장인, 좋은 부모, 사려 깊은 친구로 살아가던 누군가도문득 “이게 정말 나인가?” 하는 생각에 멈춰 서곤 합니다. 아침에 거울을 보며 얼굴을 마주하지만, 낯설게 느껴진 적 있으신가요? 이게 나인지. 정말 내가 맞는지. 직장에서의 나, 가족 안에서의 나, 연인과의 나. 모두 나라고 생각했지만 또 모두가 나 자신을 알아주지 않는 것만 같나요? 그러면서도 또 '나답지 않다’는 기분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 감정은 대부분 '정체성 혼란'시키는 데에서 비롯됩니다. 이런 상태가 반복되면, 우리는 점점 자신을 멀리서 구경하는 듯한자기 소외(Self-alienation) 상태에 빠..

[01] 현대인의 ‘가면 증후군’: 페르소나에 지배당한 삶이란?

오늘은 현대인의 '가면 증후군', 페르소나의 팽창에 대해서 칼 융의 이론과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1. 사회 속 ‘나’는 정말 나일까? 페르소나의 정의누구나 사회에서 하나 이상의 ‘가면’을 쓰고 살아갑니다. 그건 오히려 좋은 일이에요.칼 융(Carl Jung)은 이런 가면을 ‘페르소나(persona)’라는 개념으로 소개했습니다. 인간 내면의 구조를 분석하면서 나온 이름이죠. 어려워 보이지만 쉽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른 바 '부캐'라는 캐릭터로요. 요즘 연예인들 중 어떤 연예인들은 분장을 충실하게 해서 이른 바 '부캐'라는 것을 만듭니다. 유재석 님이 트로트 가수 유산슬이라는 캐릭터를 만든 것처럼 말입니다. 이러한 '부캐'는 그런 연예인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서도 충분히 일어나는 일이라는..